C++ 함수 호출(메모리 영역)

2023. 11. 5. 19:48·C++

C++에서 main()함수를 실행하게되면 스택형 방식으로 해당 코드를 실행하게된다.

스택이란 선입후출형 자료구조로써 먼저 실행된게 마지막에 종료되는 형식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

 

위에 사진처럼 작성된 프로그램이 있다고 가정해보자.

이경우 프로그램의 동작 실행 순서는 main()함수 실행 -> ADD()함수 실행 ->ADD()함수 종료 -> main()함수 종료

순으로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된다.

 

main() 함수에서 ADD함수 실행시 main()함수의 메모리 영역에 ADD함수의 메모리 영역이 생긴 뒤

ADD() 함수에 짜여진 동작 a+b를 실행하고 return 으로 계산 결과 값을 main()함수에게 전달해준다.

그뒤 ADD() 함수가 만들어졌던 메모리 공간은 제거가 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

 

우리는 이 방식을 스택형 자료구조라고 하고, FILO(선입후출)방식이라고도 부른다.

'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++ 헤더 파일에 함수 기능을 구현해 놓지 않는 이유  (0) 2023.11.09
C++ 분할 구현 (헤더 파일)  (0) 2023.11.09
C++ 게임에서의 비트 연산 활용  (1) 2023.11.04
C++ 비트 연산자 (&, |, ^, ~)  (2) 2023.11.04
C++ 비트 연산(시프트 연산)  (0) 2023.11.04
'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C++ 헤더 파일에 함수 기능을 구현해 놓지 않는 이유
  • C++ 분할 구현 (헤더 파일)
  • C++ 게임에서의 비트 연산 활용
  • C++ 비트 연산자 (&, |, ^, ~)
하길
하길
게임 개발을 위한 나의 모든 지식의 총 집합체
  • 하길
    Until Dawn
    하길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• 글쓰기 관리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141) N
      • Unreal Engine 5 (0)
      • Unity (41)
        • 3D (5)
        • 2D (7)
      • C++ (13)
      • C# (11)
      • 알고리즘 (35)
      • TIL (22)
      • 기타 (1)
      • 대장간 (12)
      • 메모 (2)
      • 게임리뷰 (0)
      • 일상 (0)
        • 챌린지 (0)
      • Article (3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• 최근 댓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1
하길
C++ 함수 호출(메모리 영역)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